중세 프랑스어에서 '성 안의 주민(상인, 장인)'을 의미하던 말에서 유래하여 근대 이후 자본가 계급, 즉 '중산층'을 지칭하게 됨.
사회주의/비판적 맥락에서는 물질주의적이고 보수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의미로 '속물적인' 뜻을 내포하기도 함.
형용사(중산층의)와 명사(중산층 사람, 부르주아)로 모두 쓰임.
| - | - | 중산층의 |
속물적인, 물질주의적인 | [사회학] 부르주아의 |
그들은 전통적인 중산층의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그의 속물적인 사고방식은 오로지 부를 축적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다.
마르크스 이론은 자본에 대한 부르주아의 통제를 비판한다.
그는 중산층 사람들의 현실 안주를 비판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