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맞추다'에서 '공간을 제공하여 맞추다'(수용하다), '요구에 맞추다'(부응하다), '상황에 맞추다'(적응시키다)로 의미 확장.
철자 주의: c 두 개, m 두 개 (accommodate).
'수용하다'는 사람/사물을 위한 공간 제공, '맞추다/부응하다'는 필요/요구에 맞춰주는 의미로 구분.
| - | 수용하다, 공간제공 | (요구)맞추다, 부응하다 |
적응시키다 | - |
그 호텔은 최대 200명의 손님을 수용할 수 있다.
저희는 귀하의 특별 식단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녀는 새로운 근무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켜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