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마술사들이 관객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사용하던, 의미 없는 라틴어처럼 들리는 주문에서 유래하여 '속임수', '눈속임'의 의미가 파생됨.
현재는 사람을 현혹시키는 말이나 행동, 또는 이치에 맞지 않는 '헛소리'를 비판적으로 지칭할 때도 사용됨.
비격식적인 단어. 마술 주문으로는 '수리수리 마수리'와 유사한 느낌으로 사용됨.
| - | 속임수, 헛소리, (마술) 주문 | - |
그 모든 마케팅 속임수에 넘어가지 마세요.
지팡이를 한 번 흔들고 "수리수리 마수리"라고 외치자 토끼가 사라졌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