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프랑스어 'brahain'(생산력 없는)에서 유래. 본래 농작물이나 식물이 자라지 않는 '척박한 땅'을 의미.
의미가 확장되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불임의' 상태를 가리키게 되었고, 더 나아가 아이디어나 내용이 '빈약한, 무익한' 상황에도 비유적으로 사용됨 (예: a barren discussion).
| - | - | (땅이) 척박한, 불모의, 열매가 안 열리는 |
(여성/동물이) 불임의, (내용이) 빈약한 | - |
이 척박한 땅에서는 식물이 거의 자랄 수 없다.
그 부부는 슬프게도 그들이 불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아무 결론도 내지 못한 길고 무익한 토론이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