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untlet

(중세 기사의) 갑옷 장갑, 태형(매질 형벌), 시련

고대 프랑스어 'gantelet'(작은 장갑)에서 유래 → '갑옷 장갑'. 'run the gauntlet'(양쪽으로 늘어선 사람들이 때리는 사이를 달려가는 형벌)에서 '태형, 시련' 의미 파생.

'gantlet'으로도 쓰임. 'throw down the gauntlet'(도전하다), 'take up the gauntlet'(도전을 받아들이다) 관용구 유의.

'run the gauntlet'는 혹독한 비판이나 시련을 겪는다는 비유적 의미로 자주 쓰임.

의미변화와 예문

(중세 기사의) 갑옷 장갑, 태형(매질 형벌), 시련
-
n
(중세 기사의) 갑옷 장갑
 H 
The knight wore iron gauntlets as part of his armor.
= armored glove, gantlet
n
태형, 매질 (양쪽으로 늘어선 사람들이 때리는 형벌)
 H 
Historically, some sailors had to run the gauntlet as punishment.
n
시련, 힘든 경험
 H 
Starting a new business can be a real gauntlet.
idiom
혹독한 시련[비판]을 겪다
+H
The new policy had to run the gauntlet of public opinion.
= face criticism, endure hardship
idiom
도전하다, 도전장을 내밀다
+H
The company threw down the gauntlet to its competitors by launching a cheaper product.
= challenge, issue a challenge
idiom
도전을 받아들이다
+H
Our team decided to take up the gauntlet and compete in the international tournament.
= accept a challenge
 H 

그 기사는 갑옷의 일부로 철제 갑옷 장갑을 끼고 있었다.

 H 

역사적으로 일부 선원들은 벌로 태형을 받아야 했다.

 H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것은 진정한 시련이 될 수 있다.

+H

그 새로운 정책은 여론의 혹독한 비판을 받아야 했다.

+H

그 회사는 더 저렴한 제품을 출시함으로써 경쟁사들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H

우리 팀은 도전을 받아들여 국제 토너먼트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자연스러운 음성 듣기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

© 2025design-xbahns.netAll rights reserved.·Privacy &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