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어 'eiron'(자신을 낮추며 능청떠는 사람)에서 유래. '의도적으로 무지한 척하는 말'에서 '실제 의미와 반대되는 말을 하는 반어법'으로, 다시 '기대와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얄궂고 모순적인 상황'으로 의미가 확장됨.
irony는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반면, sarcasm(빈정거림)은 상대를 공격하거나 조롱하려는 의도를 가진 반어적 표현을 의미. sarcasm은 irony의 한 종류이지만 항상 상처를 주려는 의도가 있음.
| - | - | 반어법, 아이러니, 얄궂은 상황 |
[문학] 극적 아이러니 | - |
그는 직설적이지 않게 정부 정책을 비판하기 위해 반어법을 사용했다.
그 상황의 아이러니는 유명한 요리사인 그가 양팔이 부러져 자신을 위한 요리를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극적 아이러니에서 관객은 극중 인물들은 모르는 핵심 정보를 알고 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