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로마에서 자식 외에는 재산이 없어 병역만 지던 최하층 시민을 의미. 이후 산업혁명 시기 노동자 계급을 지칭하게 됨.
마르크스주의에서 자본가 계급에 대비되는 임금 노동자 계급(프롤레타리아)을 지칭하는 핵심 용어로 사용됨.
명사로 '프롤레타리아(노동자 계급의 일원)'라는 의미로도 자주 쓰임.
노동자 계급의, 무산자의 | [역사] 프롤레타리아의 |
그 소설은 19세기의 노동자 계급의 혹독한 현실을 묘사한다.
그 이론은 자본가 계급에 대항하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예측했다.
마르크스 이론에서, 프롤레타리아는 자신의 노동력을 파는 노동자 계급의 일원이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