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한(pure)'에서 유래. 16-17세기 영국 국교회의 의식과 관행을 '정화(purify)'하여 더 순수한 신앙 형태로 되돌아가려 했던 개신교도를 가리킴.
현대에는 종교적 의미를 넘어, 엄격한 도덕적, 금욕적 태도를 가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됨.
고유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함.
청교도들은 엄격한 종교적 규율과 의식의 단순화를 강조했다.
그는 식단에 관한 한 모든 설탕과 가공식품을 피하는 금욕주의자이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