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fortis'(강한)에서 유래. 물리적인 '힘'에서 출발하여,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강제력', 국가의 '군대', 법의 '효력' 등 추상적인 힘의 개념으로 확장됨.
동사로 쓰일 때 'force + 목적어 + to do' 형태로 '~가 ...하도록 강요하다'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됨.
명사(힘, 군대)와 동사(강요하다)로 모두 쓰임. 'in force'는 '효력을 발휘하는' 또는 '대규모로'라는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진 관용구.
force는 물리적/도덕적 압력을 가해 강제하는 것. compel은 저항할 수 없는 힘으로 어쩔 수 없이 하게 만드는 뉘앙스. oblige는 의무나 규율에 따라 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
힘, 폭력 | 강요하다, (~하도록) 만들다, 병력, 부대 | 효력, 영향력 |
| - | [물리] 힘 |
경찰은 문을 열기 위해 물리력을 사용해야만 했다.
악천후로 인해 우리는 여행을 취소하도록 내몰렸다.
대규모의 군 병력이 그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새로운 법은 다음 달에 효력이 발생할 것이다.
F=ma라는 방정식은 힘, 질량, 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새로운 교통 법규가 현재 시행 중이다.
시위를 위해 경찰이 대규모로 동원되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