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ly A when B'는 'A를 거의 마치지 못했을 때 B가 발생했다' → '~하자마자 ~하다' 의미로 해석.
'hardly'가 문두에 올 경우 조동사/be동사 + 주어 + 본동사 순서로 도치됨 (예: Hardly had I arrived when it started to rain).
'scarcely ~ when/before ~', 'no sooner ~ than ~'과 유사한 의미 및 구조.
| - | ~하자마자 ~하다 | - |
내가 집에 도착하자마자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