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빽빽하게 누르다/채우다'라는 핵심 개념에서 파생. → (과일을 으깨 만든) 잼, (사람/차량이 꽉 찬) 혼잡, (무언가 꽉 끼어) 막히다/고장나다.
'즉흥 연주하다'는 의미는 여러 연주자가 함께 모여 연주하는 'jam session'에서 유래.
'traffic jam'(교통 체증), 'paper jam'(프린터 용지 걸림)과 같이 복합 명사로 자주 사용됨.
(과일) 잼, 혼잡 | 막다, 막히다, (기계가) 움직이지 않게 되다 | (신호) 방해하다, (음악) 즉흥 연주하다 |
우리 할머니는 매년 여름 맛있는 딸기 잼을 만드신다.
우리는 한 시간 넘게 교통 체증에 갇혀 있었다.
용지가 잘못 급지되어 복사기가 걸려 움직이지 않았다.
군은 적의 통신을 교란하려고 시도했다.
밴드는 공식적인 공연이 끝난 후 즉흥 연주를 하기 시작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