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asma

(과거 이론) 독기, 나쁜 기운, (불쾌한) 분위기
miasma
오염

고대 그리스어 'miasma'(오염)에서 유래. 과거에는 늪지 등에서 발생하는 '나쁜 공기'가 질병의 원인이라고 믿었으며, 이를 '독기(miasma)'라고 불렀음.

현대에는 비유적으로 '부패나 타락의 불건전한 분위기' 또는 '억압적인 기운'을 묘사하는 문학적 표현으로 사용됨.

발음 주의 [maɪˈæzmə] (마이애즈머)

의미변화와 예문

-
(과거 이론) 독기, 나쁜 기운, (불쾌한) 분위기
n
[과거 이론] 독기, 나쁜 기운
 P 
In the 19th century, it was widely believed that diseases like cholera were caused by a miasma rising from swamps.
= noxious vapor, bad air
n
(억압적이거나 불쾌한) 분위기, 악영향
 P 
A miasma of corruption and despair hung over the city.
= unhealthy atmosphere, negative influence
 P 

19세기에는 콜레라 같은 질병이 늪에서 피어오르는 독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널리 믿어졌다.

 P 

부패와 절망의 불쾌한 기운이 도시 전체에 감돌았다.

인접 단어

miasma
(과거 이론) 독기, 나쁜 기운, (불쾌한) 분위기

자연스러운 음성 듣기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

© 2025design-xbahns.netAll rights reserved.·Privacy &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