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하다'는 그리스어 'prassein'에서 유래. '행하는 것'이라는 핵심 의미에서 '반복적 행위(연습)', '사회적 행위(관행)', '전문적 행위(업무)' 등 다양한 의미로 분화됨.
명사(연습, 관행, 업무)와 동사(연습하다, 실천하다)로 널리 쓰이며, 'in practice'(실제로는), 'out of practice'(오랫동안 안 해서 서투른) 등 중요 관용구가 많음.
연습, 연습하다 | 관행, 관례, 실행, 실천하다 | (의사/변호사의) 업무, 개업 |
충분한 연습을 하면 어떤 기술이든 숙달할 수 있다.
그녀는 매일 피아노 치는 것을 연습해야 한다.
점심 식사 후에 낮잠을 자는 것은 그 나라의 일반적인 관행이다.
우리는 우리가 설파하는 바를 실천해야 한다.
김 박사님은 도심에서 성공적으로 개업하여 진료하고 있다.
예전에는 테니스를 잘 쳤는데, 지금은 오랫동안 안 쳐서 서툴다.
그 아이디어는 이론상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적용하기 어렵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