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에게 익숙한 방식'이라는 어원에서 '관습', '풍습' 의미가 생김. 국가 간 거래에서 정해진 관례(관세)를 의미하는 '세관'으로 확장.
형용사로는 '고객의 요구에 맞춘'이라는 의미에서 '주문 제작의'라는 뜻으로 사용됨 (예: custom car, custom suit).
복수형 customs는 '세관' 또는 '관세'를 의미함. customer(고객)는 이 단어에서 파생됨.
관습, 풍습 | 세관 | 주문 제작의, 맞춤의 |
집에 들어가기 전에 신발을 벗는 것은 이 지역의 관습 이다.
우리는 공항에 도착한 후 세관 을 통과해야 했다.
그는 독특한 도색을 한 주문 제작 차를 운전한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