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pro) 보다(vis)'라는 어원에서 유래. 미래를 위해 '미리 준비하는 것'에서 '대비, 준비'를, 특히 여행 등을 대비해 준비하는 '식량'을 의미하게 됨. '법률 조항'은 특정 상황에 미리 대비하여 명시한 규정을 뜻함.
주로 복수형 `provisions`로 '식량'을 의미하며, 단수형 `provision`은 '공급, 준비, 조항'을 의미. `make provision for ~` (~를 위해 준비하다) 구문으로도 자주 사용됨.
| - | (pl.) 식량, 양식 | (pl.) 대비, 준비, [법률] 조항 |
등산객들은 일주일 동안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식량을 가지고 갔다.
그들은 만일의 비상사태에 대한 대비를 했다.
그 계약서에는 조기 해지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