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정책이나 상황 변화에 대해 자신의 이익을 지키거나 얻기 위한 '사적인 이해관계' 또는 그로 인해 형성된 '기득권'을 의미하게 됨.
주로 복수형 'vested interests'로 사용하여 '기득권층'이나 '특정 이익 집단'을 지칭하며, 종종 공익과 대치된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짐.
기득권, 사적 이해관계 | [법률] 기득권, 확정 권리 |
그 개혁은 업계의 강력한 기득권층의 반대에 부딪혔다.
유언에 따라 그녀는 그 재산에 대한 확정 권리를 갖는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