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영어 'butan'('be'(곁에) + 'utan'(밖에))에서 유래. '...의 밖에 있다'는 공간적 의미에서 '...을 제외하고'라는 논리적 의미로, 더 나아가 역접의 '그러나'로 발전함.
접속사(그러나), 전치사(...을 제외하고), 부사(단지) 등 다양한 품사로 쓰임. 관용 표현 'all but'은 '거의'라는 의미로 사용됨 (예: The party was all but over).
그러나, 하지만 | …을 제외하고 | 단지, 그저 |
그는 똑똑하지만, 게으르다.
톰을 제외하고 모두가 왔다.
그녀는 단지 아이일 뿐이다.
우리 팀이 두 골을 넣었을 때 경기는 거의 끝난 상태였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