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것으로 만들다'라는 어원에서 파생. 긍정적으로는 특정 목적에 맞게 '할당/책정하다' (->책정된), 부정적으로는 남의 것을 자기 것인 양 '도용/전용하다' (->도용된) 의미로 분화됨.
동사 appropriate /əˈproʊpriˌeɪt/ 와 형용사 appropriate /əˈproʊpriət/ (적절한)는 발음과 의미가 다름. 이 단어는 동사의 과거분사/형용사 형태임.
주로 수동태(be appropriated for ~에 책정되다)나 명사 수식 형태로 사용됨 (appropriated funds 책정된 자금).
| - | - | [자금] 책정된 |
도용된, 전용된 | - |
새 도서관을 위해 책정된 자금이 마침내 승인되었다.
그 예술가는 작품에 도용된 이미지를 사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