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이 불분명하며, '썩은 나무'나 '쓸모없는 것'에서 '경험 없는 젊은이', '하찮은 불량배'라는 의미로 발전함.
1970년대 기성 체제에 저항하는 '펑크 록' 음악과 그 하위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크게 확장되어 현재 가장 널리 쓰임.
명사(펑크 음악, 불량배)와 형용사(질 낮은, 펑크 스타일의)로 모두 사용됨.
| - | - | [음악] 펑크, 펑크족, 불량배, 애송이 |
펑크 록은 1970년대 중반 주류 음악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그런 애송이처럼 굴지 말고, 스스로를 지켜.
그는 가죽 재킷을 입고 전형적인 펑크 스타일의 머리를 하고 있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