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한 코미디언이 만든 속임수 카드 게임 이름에서 유래하여 '속이다', '가볍게 조롱하다'는 의미로 발전함.
원작을 익살스럽게 모방하여 풍자하는 '패러디'를 의미. [컴퓨터]에서는 이메일 주소, IP 등을 위장하여 시스템을 속이는 행위를 가리킴.
parody가 문학/예술 장르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면, spoof는 좀 더 가볍고 장난스러운 뉘앙스가 강함.
| - | (영화·작품) 패러디, 희화화 | 패러디하다, 흉내 내며 놀리다, [컴퓨터] 속이다 |
그 영화는 고전 스파이 영화들을 재치있게 패러디한 작품이었다.
코미디언들은 대통령의 최근 연설을 패러디했다.
그는 친구들의 목소리를 흉내 내 전화로 놀리는 것을 좋아했다.
해커들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온 것처럼 보이도록 이메일 주소를 위장할 수 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