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tempus'(시간)에서 '시간의'라는 의미 파생. '영적인/영원한 것'과 대비되어 '현세의, 속세의'라는 의미로 확장됨.
라틴어 'tempora'(관자놀이 복수형)에서 '관자놀이의'라는 해부학적 의미 파생.
형용사로 주로 쓰이며, '시간의', '현세적인', '관자놀이의'라는 다의적 의미를 가짐.
| - | 시간의 | 현세의, 속세의 |
[해부] 관자놀이의 | - |
그 프로젝트는 1년이라는 시간적 제한이 있다.
우리는 단지 현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영적인 문제에도 집중해야 한다.
환자는 관자놀이 부위의 통증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