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이 다른 두 단어가 합쳐져 정반대의 의미를 갖게 된 특이한 경우. 고대 영어 'clēofan'(가르다)에서 '쪼개다'의 의미가, 'clifian'(달라붙다)에서 '달라붙다, 고수하다'의 의미가 유래함.
동사 변화형이 의미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쪼개다'의 과거/과거분사는 'cleft/clove/cloven', '달라붙다'는 주로 'cleaved'를 사용.
문맥에 따라 '쪼개다'와 '달라붙다'라는 상반된 의미로 해석되므로 주의가 필요함. 'cleave to'는 보통 '…을 고수하다'의 의미로 쓰임.
(쪼개)가르다, 달라붙다, 고수하다 | - |
그 나무꾼은 도끼질 한 번에 통나무를 둘로 쪼갰다.
겁먹은 아이는 엄마 곁에 바싹 달라붙었다.
그녀는 추종자들에게 비폭력의 원칙을 고수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