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크고 굵은' 의미에서 '거친, 다듬어지지 않은'을 거쳐 '불쾌한, 역겨운' 의미로 발전함.
다른 한편으로는 '큰 덩어리'에서 '공제 전의, 전체의, 총계의'라는 경제/회계적 의미로도 발전함.
형용사(역겨운, 총계의), 명사(총수익, 12다스=144개), 동사(총수익을 올리다)로 다양하게 쓰임. 특히 'gross profit/income/revenue' (총이익/소득/수입) 형태가 중요함.
| - | 역겨운 | 총계의, 전체의 |
중대한, 심한 | - |
쓰레기에서 나는 냄새는 정말 역겨웠다.
그 회사의 총이익은 작년에 10% 증가했다.
그것은 중대한 인권 침해였다.
우리는 학교에 쓸 연필 1그로스(144개)를 주문했다.
그 영화의 총수익은 1억 달러를 넘어섰다.
그 영화는 개봉 주말에 5천만 달러 이상의 총수익을 올렸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