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스토아 학파' 철학자들이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이성을 중시한 데서 유래하여,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금욕적인' 사람을 뜻하게 됨.
형용사(금욕적인, 스토아학파의) 및 명사(금욕주의자, 스토아학파 철학자)로 사용됨.
| - | - | 금욕적인, 냉정한 |
[철학] 스토아학파의 | - |
그는 나쁜 소식을 들었을 때조차도 냉정한 태도를 유지했다.
그는 스토아학파 철학과 미덕에 대한 가르침에 깊은 관심이 있다.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결코 불평하지 않는 진정한 금욕주의자였다.
고대 스토아학파 철학자들은 사람이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고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