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가 높고 부드럽게 떨리는 소리로 노래하는 것을 묘사하는 의성어적 단어에서 유래. '지저귀는'이 기본 의미.
새소리와 유사하게 사람의 목소리가 떨리거나 불안정하게 노래하는/말하는 모습에도 비유적으로 사용됨.
주로 현재분사 형용사('warbling birds')나 동명사('the warbling of birds')로 사용됨. 동사 'warble' 자체도 쓰임.
| - | (새가) 지저귀는 | (목소리가) 떨리는 |
우리는 창밖에서 지저귀는 새들의 소리에 잠을 깼다.
그녀는 긴장해서 떨리는 목소리로 그 노래를 불렀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