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und'는 어원이 다른 여러 단어가 합쳐진 형태임. 1) '(~행인)'의 의미는 '출항 준비가 된'이라는 옛 스칸디나비아어에서 유래. 2) '(껑충 뛰다)'는 '소리를 내다'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하여 '튀어 오르다'로 발전.
3) '(경계, 한계)'는 '경계석'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 4) '(묶인, 의무가 있는)'은 동사 'bind'(묶다)의 과거분사형.
의미가 매우 다양하므로 문맥을 통해 구분해야 함. 'be bound to V'(~할 의무가 있다/반드시 ~하다), 'be bound for + 장소'(~행이다) 등 숙어 형태를 익혀두는 것이 중요.
| - | (be bound for) ~행인, (be bound to) 반드시 ~하는 | 껑충 뛰다, 도약하다 |
경계, 한계, (bind의 과거분사) 묶인 | - |
이 버스는 시내 행입니다.
그 모든 노력을 고려하면, 그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그 사슴은 우아하게 담장을 껑충 뛰어넘었다.
공이 경계선 밖으로 굴러갔다.
그 죄수는 손과 발이 묶여 있었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